AI FOR SPORTS

세계 최초 AI 심판 인공지능이 KBO 그라운드에 들어서다 



XITY No.5

2024.04.11


흔히 야구는 인생의 축소판이라고 한다.

우리가 매 순간 최선을 다하고 그게 모여서 좋은 결과가 나오듯,

야구에서도 스트라이크와 볼이 하나하나 모이면서 저마다의 결과로 이어진다.

AI가 침투하면서 우리 일상에도 변화의 조짐이 보이듯,

인생의 축소판인 야구에도 AI 심판이 도입된다.

AI 심판 도입이 야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보면서

미래에 AI가 우리 인류에 미칠 영향을 점검해볼 수도 있지 않을까?


심판, AI의 심판을 받다


야구에서는 심판을 엄파이어(Umpire)라고 부른다. 다른 종목에서 보통 레프리(Refree)라고 부르는 것과 차이가 있다. 그만큼 야구에서 심판이 차지하는 영향력은 절대적이다. 4명의 심판이 야구경기에 투입되는데, 하는 일은 다른 스포츠 종목과 비교해도 다양하다. 포수 뒷자리에서 경기를 보는 주심은 경기를 개시하고, 경기 중 스트라이크와 볼을 판정한다. 공 한 구 한 구에  게임의 분위기가 바뀌는 만큼 스크라이크, 볼 판정은 중요하다. 각 루에 위치하는 루심은 1루, 2루, 3루 베이스를 맡아 주자의 세이프와 아웃, 타구의 페어와 파울 여부를 판정한다.


20세기 미국 스포츠계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평가받는 전설적인 야구 칼럼니스트 레너드 코페트(Leonard Kopett)는 자서인《야구란 무엇인가》에서 심판을 악당으로 묘사했다. 야구 경기를 위해 심판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심판의 영향력이 너무 커서 자칫 편파판정이라고 나오면 상대팀 입장에서는 억울하기 때문. 가끔은 선수나 감독이 심판의 판정에 불만을 갖고 항의를 하기도 한다. 실제로 야구팬들의 비난에 시달려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는 심판도 적지 않다. 


더구나 요즘은 스마트폰과 방송 기술의 발전으로 심판 입장에서 그런 피로도가 더욱 심해졌다. 이제는 TV로 야구 중계를 보면 스트라이크존이 표시되서 심판이 자칫 잘못된 판정을 하면 바로 야구팬들의 비난에 시달린다. 도루나 주루플레이에서 세이프와 아웃 여부도 마찬가지. 더구나 몇 년전부터 비디오 판독이 도입되면서 심판 판정에 비디오 판독을 신청해서 결과가 바뀌기도 한다. 'Umpire'라는 칭호로 불리던 심판으로서는 자존심 상할 수도 있는 상황이지만, 공정한 게임 진행을 위해 오히려 비디오 판독 횟수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도 많다(현재 메이저리그에서는 팀당 2회, WBC에서는 팀당 1회, 한국프로야구 KBO에서는 최대 3회). 그리고 마침내 KBO는 올해부터 AI 심판을 도입한다.


이제 올해부터는 AI가 스트라이크와     

볼 판정을 한다. 그럼 과연 오심은 없어질까?     

야구선수들은 만족할까? 그리고 팬들은     

오심에 대한 걱정 없이 야구를 볼 수 있을까?     

계속해서 논란이다.     

2024시즌 AI 심판 도입을 결정한 KBO


야구에서 스트라이크존은 매우 민감한 문제다. 공 하나 판정에 따라 타격 폼, 혹은 투구 메커니즘이 흐트러질 수 있고, 더 나아가 경기 흐름까지 바꿔놓을 수 있다. 경기가 끝날 때마다 당일의 스트라이크존이 야구 커뮤니티에서 입방아에 오르는 이유다. 특정 심판이 배정되면 경기 전부터 한숨을 쉬는 팬도 있다. 당연히 이를 알고 있는 심판도 스트레스다. 심판도, 팀도, 선수도, 팬도 스트라이크존은 수없는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그 자체. 인간은 실수의 동물이고, 불완전한 인간이 판정하는 스트라이크존에 대한 신뢰도는 100%가 될 수 없기에 이는 늘 관심과 비난의 대상이 된다. 심판이기에 앞서, 사람이 3시간 정도를 같은 자세를 유지하면서 0.4초 이내로 날아오는 공을 판별하기도 쉽지 않은 일이다. 똑같은 볼 판정을 내려도 심판의 출신지역 등에 따라 괜히 오해를 받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감정적 판단이 절대 개입될 수 없는 로봇 심판에 대한 갈망이 나올 수밖에 없는 배경이다.

이런 가운데 KBO는 2024시즌부터 자동 볼 판정 시스템인 ABS(Automatic Ball-Strike System)를 도입한다. ABS는 AI가 스트라이크와 볼을 판정하는 시스템으로 지난 2020년부터 퓨처스리그에서 시범 운영됐다. 2020년  8월  경기도  이천  LG챔피언스파크에서  있었던  LG와  한화의  퓨처스리그  경기에  프로야구  사상  처음으로  인공지능이  스트라이크와  볼을  판정하는  시스템이 도입된 것. 이에 KBO는 1부 리그 격인 KBO리그에 AI 심판을 전격 도입하기로 했다. 야구장에 설치된 전용 카메라가 마운드와 홈플레이트 등 고정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타자별 스트라이크존을 설정한 뒤 공의 궤적을 파악해 자동으로 스트라이크와 볼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주심은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깔린 스마트폰과 이어폰 등 수신 장비를 착용하고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콜을 한다. 판정 결과에는 개입할 수 없다. 이는 100년이 넘는 야구 역사상 가장 획기적인 변화 중 하나로, 우리나라가 전 세계 프로야구 중 최초로 도입하는 사례다.


심판 판정에 감정이 배제된 AI가 도입되면서 공명정대한 판정이 내려질 것이라는 기대감도 크지만, 한편으로는 우려의 목소리도 많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해 5월 15일 열렸던 고교 야구경기다. 이날 시범적으로 AI 심판이 도입됐는데 목동구장에서 펼쳐진 3경기에서 무려 78개의 사사구(볼 넷과 몸에 맞는 공)가 나왔다. 경기당 20개가 넘는 셈. 충암고와 경남고 경기에서 16개, 전주고와 천안CS 경기에서는 23개의 사사구가 나왔다. 무엇보다 부산공업고와 야로고BC 경기에서는 무려 39개의 사사구가 나왔다. 이는 고교 야구 한 경기당 최다 사사구 기록에 해당한다. 스트라이크존에 걸친 듯한 공이 모두 볼로 판정됐기 때문인데, 오히려 많은 사사구로 인해 경기의 재미는 반감됐다는 지적도 많았다. 앞선 대회에서 유독 바닥으로 떨어지는 어이없는 낮은 볼이 스트라이크로 판정되었다는 지적사항을 수정하기 위해 스트라이크존을 재설정한 것이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스트라이크의 기준을 홈플레이트 앞면과 포수 앞면에서 모두 스트라이크여야 한다는 규정을 제시했는데 이게 문제가 된 것. 다음 경기에서 재조정했지만 역시 마찬가지였다.


야구는 민감한 스포츠다. 스트라이크로 판정될 법한 공이 볼로 판정되는 일이 반복되면 투수의 멘탈은 흔들릴 수밖에 없다. 타자 입장에서도 헷갈리기는 마찬가지. 국내 최고의 인기 스포츠인 프로야구에서 AI 심판 도입으로 사사구가 급증하면서 경기의 질이 낮아진다거나 사사구가 급증해 매번 스트라이크존에 대한 설정을 다시 해서 투수와 타자가 헷갈리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 그 비난의 여파는 고교 야구 때와는 차원이 다를 것이다.






기사 전문은 <XITY> 매거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기 구독 신청


           editor HAN DAEHOON 




AI FOR SPORTS   

세계 최초 AI 심판 인공지능이

KBO 그라운드에 들어서다


XITY No.5

2024.04.11


흔히 야구는 인생의 축소판이라고 한다. 

우리가 매 순간 최선을 다하고 그게 모여서 좋은 결과가 나오듯, 야구에서도 스트라이크와 볼이 하나하나 모이면서 저마다의 결과로 이어진다. AI가 침투하면서 우리 일상에도 변화의 조짐이 보이듯, 인생의 축소판인 야구에도 AI 심판이 도입된다. AI 심판 도입이 야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보면서 미래에 AI가 우리 인류에 미칠 영향을 점검해볼 수도 있지 않을까?



심판, AI의 심판을 받다

 

야구에서는 심판을 엄파이어(Umpire)라고 부른다. 다른 종목에서 보통 레프리(Refree)라고 부르는 것과 차이가 있다. 그만큼 야구에서 심판이 차지하는 영향력은 절대적이다. 4명의 심판이 야구경기에 투입되는데, 하는 일은 다른 스포츠 종목과 비교해도 다양하다. 포수 뒷자리에서 경기를 보는 주심은 경기를 개시하고, 경기 중 스트라이크와 볼을 판정한다. 공 한 구 한 구에 게임의 분위기가 바뀌는 만큼 스크라이크, 볼 판정은 중요하다. 각 루에 위치하는 루심은 1루, 2루, 3루 베이스를 맡아 주자의 세이프와 아웃, 타구의 페어와 파울 여부를 판정한다. 


20세기 미국 스포츠계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평가받는 전설적인 야구 칼럼니스트 레너드 코페트(Leonard Kopett)는 자서인《야구란 무엇인가》에서 심판을 악당으로 묘사했다. 야구 경기를 위해 심판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심판의 영향력이 너무 커서 자칫 편파판정이라고 나오면 상대팀 입장에서는 억울하기 때문. 가끔은 선수나 감독이 심판의 판정에 불만을 갖고 항의를 하기도 한다. 실제로 야구팬들의 비난에 시달려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는 심판도 적지 않다. 


더구나 요즘은 스마트폰과 방송 기술의 발전으로 심판 입장에서 그런 피로도가 더욱 심해졌다. 이제는 TV로 야구 중계를 보면 스트라이크존이 표시되서 심판이 자칫 잘못된 판정을 하면 바로 야구팬들의 비난에 시달린다. 도루나 주루플레이에서 세이프와 아웃 여부도 마찬가지. 더구나 몇 년전부터 비디오 판독이 도입되면서 심판 판정에 비디오 판독을 신청해서 결과가 바뀌기도 한다. 'Umpire'라는 칭호로 불리던 심판으로서는 자존심 상할 수도 있는 상황이지만, 공정한 게임 진행을 위해 오히려 비디오 판독 횟수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도 많다(현재 메이저리그에서는 팀당 2회, WBC에서는 팀당 1회, 한국프로야구 KBO에서는 최대 3회). 그리고 마침내 KBO는 올해부터 AI 심판을 도입한다.



2024시즌 AI 심판을 도입한 KBO 


야구에서 스트라이크존은 매우 민감한 문제다. 공 하나 판정에 따라 타격 폼, 혹은 투구 메커니즘이 흐트러질 수 있고, 더 나아가 경기 흐름까지 바꿔놓을 수 있다. 경기가 끝날 때마다 당일의 스트라이크존이 야구 커뮤니티에서 입방아에 오르는 이유다. 특정 심판이 배정되면 경기 전부터 한숨을 쉬는 팬도 있다. 당연히 이를 알고 있는 심판도 스트레스다. 심판도, 팀도, 선수도, 팬도 스트라이크존은 수없는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그 자체. 인간은 실수의 동물이고, 불완전한 인간이 판정하는 스트라이크존에 대한 신뢰도는 100%가 될 수 없기에 이는 늘 관심과 비난의 대상이 된다. 심판이기에 앞서, 사람이 3시간 정도를 같은 자세를 유지하면서 0.4초 이내로 날아오는 공을 판별하기도 쉽지 않은 일이다. 똑같은 볼 판정을 내려도 심판의 출신지역 등에 따라 괜히 오해를 받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감정적 판단이 절대 개입될 수 없는 로봇 심판에 대한 갈망이 나올 수밖에 없는 배경이다.



이제 올해부터는 AI가 스트라이크와 

볼 판정을 한다. 그럼 과연 오심은 없어질까?

야구선수들은 만족할까? 그리고 팬들은

오심에 대한 걱정 없이 야구를 볼 수 있을까?

계속해서 논란이다.



이런 가운데 KBO는 2024시즌부터 자동 볼 판정 시스템인 ABS(Automatic Ball-Strike System)를 도입한다. ABS는 AI가 스트라이크와 볼을 판정하는 시스템으로 지난 2020년부터 퓨처스리그에서 시범 운영됐다. 2020년 8월 경기도 이천 LG챔피언스파크에서 있었던 LG와 한화의 퓨처스리그 경기에 프로야구 사상 처음으로 인공지능이 스트라이크와 볼을 판정하는 시스템이 도입된 것. 이에 KBO는 1부 리그 격인 KBO리그에 AI 심판을 전격 도입하기로 했다. 야구장에 설치된 전용 카메라가 마운드와 홈플레이트 등 고정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타자별 스트라이크존을 설정한 뒤 공의 궤적을 파악해 자동으로 스트라이크와 볼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주심은 관련 애플리케이션이 깔린 스마트폰과 이어폰 등 수신 장비를 착용하고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아 콜을 한다. 판정 결과에는 개입할 수 없다. 이는 100년이 넘는 야구 역사상 가장 획기적인 변화 중 하나로, 우리나라가 전 세계 프로야구 중 최초로 도입하는 사례다. 


심판 판정에 감정이 배제된 AI가 도입되면서 공명정대한 판정이 내려질 것이라는 기대감도 크지만, 한편으로는 우려의 목소리도 많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해 5월 15일 열렸던 고교 야구경기다. 이날 시범적으로 AI 심판이 도입됐는데 목동구장에서 펼쳐진 3경기에서 무려 78개의 사사구(볼 넷과 몸에 맞는 공)가 나왔다. 경기당 20개가 넘는 셈. 충암고와 경남고 경기에서 16개, 전주고와 천안CS 경기에서는 23개의 사사구가 나왔다. 무엇보다 부산공업고와 야로고BC 경기에서는 무려 39개의 사사구가 나왔다. 이는 고교 야구 한 경기당 최다 사사구 기록에 해당한다. 스트라이크존에 걸친 듯한 공이 모두 볼로 판정됐기 때문인데, 오히려 많은 사사구로 인해 경기의 재미는 반감됐다는 지적도 많았다. 앞선 대회에서 유독 바닥으로 떨어지는 어이없는 낮은 볼이 스트라이크로 판정되었다는 지적사항을 수정하기 위해 스트라이크존을 재설정한 것이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스트라이크의 기준을 홈플레이트 앞면과 포수 앞면에서 모두 스트라이크여야 한다는 규정을 제시했는데 이게 문제가 된 것. 다음 경기에서 재조정했지만 역시 마찬가지였다. 


야구는 민감한 스포츠다. 스트라이크로 판정될 법한 공이 볼로 판정되는 일이 반복되면 투수의 멘탈은 흔들릴 수밖에 없다. 타자 입장에서도 헷갈리기는 마찬가지. 국내 최고의 인기 스포츠인 프로야구에서 AI 심판 도입으로 사사구가 급증하면서 경기의 질이 낮아진다거나 사사구가 급증해 매번 스트라이크존에 대한 설정을 다시 해서 투수와 타자가 헷갈리는 경우가 발생할 경우 그 비난의 여파는 고교 야구 때와는 차원이 다를 것이다.


기사 전문은 <XITY> 매거진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기구독신청


    editor HAN DAEHOON



RELATED ARTICLES

RELATED ARTICLES

COMAPANY INFO   +

Company Name | 도서출판 휴먼밸류

Owner  | 박경화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  540-86-00972 

Phone Number  |  02-2062-5170

Fax  |  02-2062-5171

E-mail  |  contact@xity.co.kr

Address  |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로 22길 21

Copyright 2023, XITY All rights reserved.

COMAPANY INFO   +

Company Name | 도서출판 휴먼밸류

Owner  | 박경화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  540-86-00972 

Phone Number  |  02-2062-5170

Fax  |  02-2062-5171

E-mail  |  contact@xity.co.kr

Address  |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로 22길 21

Copyright 2023, XITY All rights reserved.